전체검색 결과
입학과 동시에 지도교수 Lab에서 연구하는 기존대학원들과 다르게 1학년들은 오픈 랩에서 같이 1년 동안 생활하면서 다른 연구실 학생들과 교류하게 됩니다. 서로 다른 연구실의 학생들끼리 교류하면서 융합 분야의 연구주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년을 보낸 후에는 각자의 랩에서 생활하며 연구를 진행하게 됩니다.
AI시스템공학과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수업조교에 참여하지는 않으나, 연구 또는 교육에 관련된 업무에 참여함으로써 인건비를 지급받습니다.
ICT명품인재 인증은 해당 과목 이수학생을 미래 신시대의 신인류인 Super Sapiens 핵심역량(S.A.P.I.E.N.s) 및 인자(D.N.A.)를 보유한 인재로 정의합니다. AI시스템공학과의 연구교육(학점, 평점) 기준과 Super Sapiens 역량평가(연구실적) 및 다학제 비교과과정 이수 등 조건 충족 시 부여하며, 별도의 동기부여 정책 및 인증 학생에 대한 혜택 제공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인증 부여 조건은 아래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ICT명품인재 인증 혜택- 각종 교내, 외 프로그램 선발 및 대외 수상 기회 부여, 우수 …
1차 서류전형 후 개별 혹은 단체 대면 면접 형태로 진행됩니다. 공지되는 해당 면접 방식에 따라서 필요 면접자료 등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의학, 사회학 등 응용 분야보다는 ICT 분야 기초 지식을 충실히 준비하는 것이 입학 후 연구를 위해 중요합니다.
AI시스템공학과 입학생은 다학제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소프트웨어 전공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인문사회(소셜), 메디컬, 지능정보과학(AI, Neural interaction) 등 다양한 융합 분야를 경험할 수 있는 교과목을 이수하게 됩니다. 이후 프로젝트 과목들 및 인턴십을 수행하며 교육받은 내용을 바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 받습니다. 또한 산업계에서 실제로 대두되는 문제에 기반하는 해커톤이나 컨퍼런스 등에 참가하면서 아이디어를 실현 및 공유하고, 나아가 취업 및 창업에도 연계하는 것이 가능합니…
3월 간담회를 추현승 단장님 및 수퍼인텔리전스학과 1기 학생들과 진행하였습니다.
30일 성균관대학교 제2공학과 제2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와 성균관대 및 아주대의 ‘AI기반 의료·바이오 분야 응용연구 지원’ 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제공)출처 : 이코노뉴스(http://www.econonews.co.kr)[이코노뉴스=최아람 기자]경기도는 성균관대·아주대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의료·바이오 분야 응용연구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경기도는 이날 성균관대학교 제2공학과 제2회의실에서 성균관대 및 아주대와 ‘AI기반 의료·바이오 분야 응용연구 지원’ 사업 업무협약…